제왕절개를 위해 척추마취를 한 경우 부작용으로 저압성 두통(Post-dural puncture headache, PDPH)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척추마취(spinal anesthesia)나 경막천자(lumbar puncture) 후 경막의 천공으로 인해 뇌척수액(CSF)이 새어나가면서 발생하는 두통입니다.
이때 치료를 위해 블러드 패치라는 시술을 시행 할 수 있습니다.
1. 두통 호소 현상
1)첫아이를 출산한 34세 여성 A씨
A씨는 첫아이를 제왕절개로 출산하면서 척추마취를 받았습니다. 출산 후 하루 정도는 괜찮았지만, 다음 날부터 머리를 들 때마다 심한 두통과 어지러움을 느꼈습니다. 처음에는 출산 후 피로 때문이라고 생각했지만, 누우면 괜찮고 앉거나 서면 극심한 두통이 발생하는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결국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블러드 패치 시술을 받았고, 시술 후 몇 시간 만에 두통이 완화되었습니다.
2)둘째 출산 후 저압성 두통을 겪은 37세 여성 B씨
B씨는 첫째를 자연분만으로 출산했지만, 둘째는 응급 제왕절개를 하게 되었습니다. 수술 중 경막외마취를 받았고, 출산 후 퇴원했지만 집에서 두통이 점점 심해졌습니다. 단순한 피로로 여겼지만, 며칠 후 앉아 있거나 걸을 때마다 머리가 찢어질 듯 아프고, 속까지 메스꺼운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았습니다. 검사 결과 저압성 두통으로 확인되었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카페인 복용으로 경과를 지켜보다가 결국 블러드 패치 시술을 받고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
2.블러드 패치 시술 과정
- 혈액 채취
- 환자의 팔에서 자신의 정맥혈(10~20mL) 을 채취합니다.
- 경막외강(Epidural space)에 주입
- 무균적 환경에서 X-ray(투시 장비) 또는 초음파 유도 하에 환자의 경막외강(epidural space)에 바늘을 삽입합니다.
- 채취한 혈액을 천천히 주입하면 혈액이 응고되면서 천공 부위를 덮고 뇌척수액 유출을 막아 증상이 호전됩니다.
- 시술 후 안정
- 환자는 2시간 이상 바로 누운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 대개 90%의 높은 성공률을 보입니다.
- 증상이 지속되면 2차 블러드 패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3.부작용 및 주의점
- 일시적인 허리 통증, 감염, 신경손상, 경막 천공(재발), 혈종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항응고제 복용 중)나 감염이 있는 경우 시행이 어렵습니다.
4. 결론
블러드 패치는 PDPH 치료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통이 심하고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라면 블러드 패치 같은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면 경미한 경우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만으로도 회복될 수 있으므로,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샵 개인정보유출 사고발생 (0) | 2025.02.27 |
---|---|
개인정보 유출 시 대처 방법: 내 정보는 내가 지킨다! (1) | 2025.02.27 |
화이트데이 20대 선물추천(가격대별) (0) | 2025.02.16 |
화이트데이 10대 선물추천(가격대별) (0) | 2025.02.16 |
초등학생 자녀를 위한 스마트 기기 추천 (1) | 2025.02.11 |
초등학교 입학 전 익히면 좋은 학습 수준(수학) (0) | 2025.02.08 |
초등학교 입학 전 익히면 좋은 학습 수준(국어) (0) | 2025.02.07 |
10대 발렌타인데이 가격대별 선물추천 (0) | 2025.02.07 |